전체 글1496 경남정보사회연구소 2024 꿈다락 문화예술학교 경남정보사회연구소가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의 '2024 꿈다락 문화예술학교 교육 프로그램'으로중장년 작곡 교실 '인생을 속닥이니 노래가 되네'를 진행하였습니다.https://www.idomin.com/news/articleView.html?idxno=920594 중년 여성들, 자신의 삶을 노래로 만들다"그리움의 순간들이 기다림의 눈물에 젖어 별빛에 여위어서 작약꽃이 되어버린 내 첫사랑 나의 끝사랑." 창원시 마산회원구에 사는 임영미(65) 씨가 직접 가사를 쓰고 음률을 넣어 만든 '끝사랑'www.idomin.comhttps://www.youtube.com/live/pPqhLPJOvN4?t=613s 2025. 2. 3. [2024 길 위의 인문학] 우리는 창원사람 인문데이 마산 2회차 & 창동골목여행 https://blog.naver.com/mujinsim/223611637904 2024년 길위의인문학2회차 그리고 창동골목여행#길위의인문학 #창원봉곡평생학습센터 #마산이야기 #창동이야기 #창동아지매 1주일만에 다시 만난 봉곡동 ...blog.naver.com 2025. 2. 3. 경남정보사회연구소 30주년 세미나 (경남 MBC) https://www.youtube.com/watch?v=lhAppE0mqyE 2025. 2. 3. 2025년 신년사 모두들 강녕하셨는지요? 을사년 새해 새날이 밝았습니다.2024년은 유난히 국가적으로 큰 일들이 많았고, 변화의 소용돌이 속에서 혼돈과 불안의 나날을 보냈습니다.2025년에는 정국이 안정되어 일상이 회복되고 모든 국민들이 나라 걱정보다 삶을 즐길 수 있는 여유있는 나날을 보낼 수 있기를 빌어봅니다. 2024년 연구소는 창립 30주년을 맞아 세미나, 기념식 등을 준비하면서 연구소의 발자취를 톫아보는 소중한 시간이었습니다. 모두의 관심과 지원으로 30주년 기념식은 잘 치루어졌습니다.특히 1994년 창립선언문에 이어 30주년 선언문을 통해 연구소가 걸어온 길과 나아갈 길이 분명해진 것 같습니다. 그동안 연구소는 창원을 중심으로 마을도서관운동을 통해 마을 중심 지역문화공동체를 일구는데 힘을 써왔습니다. 일상의 .. 2025. 1. 8. 회원가입 안내 회원 가입 및 CMS 신청 하기 https://m.site.naver.com/1xrxD 2024. 12. 17. 연구소 소개 리플렛 2024. 12. 17. 경남정보사회연구소 30주년 기념식 참여 신청하기 => https://naver.me/GJTh6Lch 경남정보사회연구소 30주년 기념식 참여 신청네이버 폼 설문에 바로 참여해 보세요.form.naver.com 2024. 11. 14. 연구소 30주년 세미나 모시는 글1990년대 초 지방자치시대가 본격적으로 열리고,1993년 책의 해를 맞이하여 사회변화에 대한 열망과 참여의식이 높았던 1994년, 젊은 도시 창원에서는 몇 몇 뜻있는 인사들이 지역 주민들의 ‘정보와 지식의 자치와 자립’을 선언하며‘경남도서관 및 정보문화발전연구소’(현재 경남정보사회연구소)를 설립하였습니다. 창원시를 중심으로 1995년부터 연구소가 주도한 주민 참여형 마을도서관 운동은전국 최초 제3섹터 민-관 협력 방식의 작은도서관 운영 모형으로이후 전국 지방자치단체 공립 작은도서관을 설립하는 데 모델이 되었습니다.1994년 창원시에 전무하였던 작은도서관은 지역사회와 협력하여 2024년 지금,100여 개의 도서관이 마을마다 생겨 지역사회 발전의 토대가 되었고,건강한 마을공동체 문화를 일구게 되었.. 2024. 8. 29. [2024 길 위의 인문학] 11회차 _ 후속모임 봉곡평생학습센터 2024 길 위의 인문학 _ 마을이 사랑한 책 마지막 모임이 있었습니다.두 분의 강사님이 총 10회의 길 위의 인문학 프로그램을 정리하고, 후속모임에 대한 계획도 가졌습니다.나누었던 모든 책들을 한번 더 리뷰하고, 또 함께 보았던 영화들도 한번 더 떠올리는 시간이었습니다.이후 총 10회의 길 위의 인문학 프로그램에 대한 소감도 나누었습니다.무엇보다 무슨 책을 읽어야 할지 몰랐는데 한 마을 한 책 읽기에 선정되었던 책 뿐만 아니라 관련된 다양한 책들을 접할 수 있어 좋았고, 책을 다시 읽도록 해준 고마운 프로그램이라고 나눈 분들이 많았습니다.후속모임은 매달 진행되며, 격월로 책 읽기와 영화 읽기가 돌아가며 이루어집니다.9월은 9월 20일(금) 저녁 6시 30분 부터 진행됩니다.길 위의 인문.. 2024. 8. 26. [2024 길 위의 인문학] 우리는 창원사람 인문데이 _ 참가자 모집 신청하기 >> https://form.naver.com/response/TogrmjF_5YcraPx1pTNC_g [2024 길 위의 인문학] 우리는 창원사람 인문데이(人-DAY)네이버 폼 설문에 바로 참여해 보세요.form.naver.com 2024. 8. 19. [경남도민일보] 길 위의 인문학 소개 기사 - [아침을 열며] 마을이 사랑한 책 [아침을 열며] 마을이 사랑한 책"그냥 슬리퍼 신고 반바지 차림으로 도서관에 가는 거지. 마치 책이랑 놀 것처럼 말이야."벌써 30년 전이다. 오랜만에 찾아뵌 제자에게 대학교 은사님이 흥분을 감추지 못하고 건넨 말이다. 전공www.idomin.com [아침을 열며] 마을이 사랑한 책기자명 김혜란 방송인·강사 특별한 경험이 되는 '한 마을 한 책 읽기'다양한 생각 나누며 우리사회 피가 되는"그냥 슬리퍼 신고 반바지 차림으로 도서관에 가는 거지. 마치 책이랑 놀 것처럼 말이야."벌써 30년 전이다. 오랜만에 찾아뵌 제자에게 대학교 은사님이 흥분을 감추지 못하고 건넨 말이다. 전공과는 다른 직종에서 일하며 지쳐가던 제자는 은사님의 맑고 깊은 눈빛으로 전한 말을 그 후로도 오랫동안 기억했다. 창원에서 시.. 2024. 8. 19. [2024 길 위의 인문학] 마을이 사랑한 책 _ 11회차 참가자 모집 신청하기 https://url.kr/xytilf 2024년 길 위의 인문학 마을이 사랑한 책 참가자 신청네이버 폼 설문에 바로 참여해 보세요.form.naver.com 2024. 8. 19. 이전 1 2 3 4 5 ··· 12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