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교육센터와 지역주민운동 /이은진
경남정보사회연구소 주관, NGO아카데미 6강좌 (마지막) 2001년 11월 15(목) 오전 10시 - 오전 10시 20분, 각자 경험 공유하기 오전 10시 20분 - 오전 11시 20분, 강의 오전 11시 20분 - 정오 12시, 질의응답 참석예정자: 정경순(팔룡, 운영위 총무), 김금필(팔룡, 보조교사), 정애란(봉곡, 실무자), 박갑태(봉곡, 운영위원), 김광섭(여좌, 실무자), 최성희(봉림, 동화모임 회장), 이정화(반지, 동화모임), 이은진(사림, 실무자), 김명숙(사림, 자봉), 김진숙(중앙, 자봉), 박영숙(중앙, 자봉), 이은주(사파동성, 자봉), 이경옥(사파동성, 자봉), 박삼순(사파동성, 자봉), 이지연(사파동성, 자봉), 안해자(사파동성, 자봉), 김미호(의창, 이용자), 김순하(의창,..
2004. 6. 25.
문화센터 운영 및 프로그램 개발/이은진
2001.11.7(수)오후 2시 - 2시 50분, 문화센터 운영, 강의 이은진 오후 3시 - 3시 50분, 마을만들기 관련한 쿠리티바 영상비디오 시청 오후 4시 - 4시 50분, 프로그램 개발, 강의 문귀남(경남정보사회연구소 지구장) I. 문화란 문화는 교과서에서는 삶의 양식이라고 지적되거나, 고급 예술을 의미하기도 한다.그러나 아무튼 다양한 삶을 알고, 이해하고, 평가할 수 있는 능력이 있을 때 문화능력이 있다고 표현한다. 다양한 삶이란 가정내의 가족들간, 이웃간, 서로 계층이 다른 사람들, 지역이 다른 사람들, 다른 나라 사람들, 다른 종교를 가진 사람들, 다른 인종, 다른 성(남과 녀), 육체적으로 다른 사람들(노인, 장애인, 병자 등)의 삶을 인지하고, 이해하고(남의 처지에서 판단할 수 있는 능력..
2004. 6. 25.
사회교육의 방향 / 이은진
2001. 9. 7(금) 오전 11시 50분 - 오후 1시 30분/창원시 늘푸른 전당 3층 디자인 창작실 경남정보사회연구소 2001년 하반기 신입 실무자 교육과정 강의 대상자 김근영(의창), 박선희 (의창), 이명숙 (대원), 권서윤(팔룡, 인턴), 이순자(반지), 정애란(봉곡), 이은진(사림, 인턴), 김정숙(봉림, 인턴), 김수자(용지), 이보경(중앙), 김지현(중앙), 김선진(사파, 인턴), 한명옥(사파), 정경란(동성), 김난영(자료실, 인턴) 사회교육을 설득할 때 쓰는 논리는 무엇인가? 객관적으로 비교 가능한 지표들: 값이 싸다.질이 좋다(효과가 있다). 관계적 만족감: 이웃과 친할 수 있다.아이와 어른이 같이 와서 배울 수 있다. 프로그램을 만들 수 있다. - 그러나 이때 그냥 와서 해보시지요..
2004. 6. 25.
우리 지역에서 주민운동을 어떻게 할 것인가?
2000년 11월 21일(화) 오전 10시 - 11시, 강의 오전 11시 - 정오 12시, 질의응답, 토론꺼리를 갖고 토론 이은진 I. 주민운동이란 주민 = 거주하는 사람 누가 주민인가? 주거에 직접적인 이해를 가진 사람들 주민운동을 이끌고 참여할 사람들 = 주거에 대한 이해를 가장 많이 가진 사람들(화폐, 교육, 자연환경, 인적환경), 가정 살림을 책임진 사람들(주부), 실제로 집에 오래있는 사람들(비경제활동인구: 주부, 경제활동을 끝낸 사람들, 유아, 학생층) 주민운동 = 거주의 환경, 조건을 공동체적인 속성이 있는 (인간적인 환경)으로 바꾸기 위한 노력 II. 주민운동의 필요성 거주의 황폐화 = 공동체의 와해, 국가 권력과 시장에 의한 토지의 상품화, 공동체적 영역(의료, 주택, 최소한의 생계, 교..
2004. 6.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