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료실/2022년 활동

[다시, 마을에서] 다시, 마을로 프로젝트 단행본 소개

by kisingo 2022. 12. 2.
창원 시민 여러분 안녕하세요 
창원시 성호생활문화센터입니다!
 
 
날씨가 많이 쌀쌀해졌죠? 얼마 전 창원에도 첫눈이 내렸습니다. 
추워진 만큼 창원 시민 여러분들도 따뜻하게 입고 다니세요!
 
오늘 소개해드릴 콘텐츠는 성호생활문화센터가 주관으로 참여한 
[다시, 마을로] 프로젝트북입니다.
 
 
표지가 정말 예쁘죠? 
책을 소개하기 앞서 간단하게 [다시, 마을로] 사업을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문화체육관광부와 지역문화진흥원이 추진하는 ‘2021 지역형 생활문화 활성화 시범사업’은 
생활문화 생태계 기반 마련을 위해 다양한 생활문화 주체.활동.공간 간 협력을 바탕으로 
지역형 생활문화 활성화를 지원하는 사업입니다.
 


 
창원의 생활문화 활성화를 위해 창원 내 14개 단체
(창원시 성호생활문화센터, 지역문화공동체 경남정보사회연구소,
 꿈자람사회적협동조합, 예술나무, 사림생활, 사림평생학습센터,
 시티앤로컬 협동조합, 에코우먼, 예종, 창동예술촌, 창원시생활문화예술동호인연합회,
 창원시문화도시지원센터, 푸른내서주민회, 행복의창)들이 모여 시작한 ‘다시, 마을에서’는 
5개 권혁(내서, 오동동, 의창, 봉림, 여좌)에서
 지역 주민들이 주도하고, 새로운 생활문화 주체를 발굴하며
 지역문화 생태계 기반을 조성하기 위한 사업으로서,
 ‘마을에서 문화가 일상인 주민’을 슬로건으로 진행되었습니다.
 
 
 
다시 말해 [다시, 마을로] 사업은 2021 지역형 생활문화 활성화 시법사업의 일환으로
 지역 주민들과 의사소통하며 지역문화를 발굴하여 조성하는 사업입니다.
 
그렇다면 이제 차례를 살펴볼까요?
 
▶ 권역별 프로젝트
- 문화꽃 피는 마을 ‘여좌’ 프로젝트
- 걸어서 오동동 100경
- 봉림동 느티나무 생활문화 가꾸기
- 자연과 함께 누리는 문화
- 행복의창, 쉼표처럼 꽃이 피다
 
 
▶ 문화 네트워크 프로젝트
- 문화평상회
- 창원시 한 마을 한 책 읽기 운동
- 우리 시대, 창원의 생활문화예술을 찾아서
 
▶ 지역 주민 문화거점 공간 만들기 프로그램
- 성호, 깊은 골목 기쁜 마을
 
 
▶ 생활문화 인적 네트워크 강화 프로그램
- 마을문화 잇다 학교
- 구(9)수한 마을 구(9)경 프로젝트
- 골아프지와 함께하는 시월의 마지막 밤& 미리 메리크리스마스
- 세대별 지구별 궁리하는 ‘삶’
- 아씨합창단과 동네 한바퀴, 동네 할무이를 렌즈에 담다
- 행복한지역아동센터 아이들과 지역 봉사단체가 함께 드림캐처 만들기
 
 
- 문화가 꽃피는 산호동 마산살롱
- 우리 동네 누비道 12폭에 담긴 성호동 이야기 
- 누비자 타GO 여행 하GO
- 마을 잇기 자전거 성화봉송 릴레이
- 보람나눔잔치
 
 
첫 번째, 지역 내 인접한 여러 단체가 힘을 모아 지역 주민들이 주도하는 
문화 생태계 기반을 조성하는 ‘권역별 프로젝트’
 
 
 
● 마산합포구 오동동 
- 걸어서 오동동 100동 : 
새로운 지역 명소를 발굴하고 촬영하여 소개
 
 
● 마산회원구 내서읍
- 자연과 함께 누리는 문화 :
일회용 비닐 줄이기 운동, 용기내 활동, 
에어컨 없이 여름나기, 텃밭 함께 가꾸기, 환경 장터, 푸른 내서 사진 공모가 진행
 
 
● 진해구
- 문화꽃 피는 마을 ‘여좌’ 그 시절 아낙네들의 소통공간 빨래터 : 
진해 여좌동 돌산마을에는 100년 동안 이어져 오며 지금도 마을 어르신들이 사용하는 
빨래터와 우물이 있어 그들의 문화와 이야기를 들을 수 있는 투어 진행
 
 
● 창원 의창동
- 행복의창, 쉼표처럼 꽃이 피다 :
 여러 가지 생활문화 강좌와 체험 활동, 
산책로와 폐터널을 활용하여 훌륭한 무대로 사용
 
 
2. 도시 전역을 대상으로 한 문화 네트워크 프로젝트
 

 

사회적 기업 <예종> 문화평상회’ : 

평상을 만들어 문화와 소통의 공간으로 재변신

 

 

 

()지역문화공동체 경남정보사회연구소 창원시 한 마을 한 책 읽기 운동’ :

 10개의 마을도서관이 서로 배우고 소통할 수 있음

 

 

창원시생활문화예술동호인연합회 주축으로 지역문화탐험대’ :

 생활문화 동호회 현장 탐방 및 인터뷰 제작,

 문화 소외지역에서 문화예술 교육 체험과 시연 진행

 
 
3. 지역 주민들의 문화 거점 공간 프로젝트
 

 

- 성호생활문화센터 ‘성호, 깊은 골목 기쁜 마을’ : 

천하장사 씨름 한마당, 성호 골목트롯왕 선발 대회,

 나만의 녹색 정원, 옥상 텃밭, 평상만들기

 

 

4. 인적 네트워크 강화 프로젝트

 

 

- 창원시문화도시지원센터 ‘마을문화 잇다 학교’ :

 마을문화 활동이 이루어질 수 있는 기반 조성을 위한

 마을문화활동가 양성을 목적

 

 

- 창동희망나무 (9)수한 마을 구(9)’ : 

골아프지마와 함께하는 시월의 마지막 밤&크리스마스 버스킹 진행

 

 

- 성호생활문화센터 누비자 타GO 여행 하GO’ : 

자전거 여행을 하며 시민들이 주체적으로 즐길 수 있는

 지속가능한 문화 활동의 가능성을 확인하는 여정

 

 

<다시, 마을로>

다시, 마을에서 시작한 우리는

다시, 마을로 돌아갑니다.

우리가 들고 달려온 성화의 불은 이제 훨훨 타오를 것입니다.

우리는 가슴 가슴에 성화를 품고

우리가 시작한 그곳으로, 그품으로 돌아가

또 다른 작은 불씨를 만들고 키워 내

큰 불로 피워 올릴 것입니다.

시작과 끝은 언제나 함께이듯

우리의 이 따뜻한 끝이 또한 열정적인 시작이 되리라 믿습니다.

다음 성화를 기대하며!

다시, 마을로! 아리아리!

 

- 보람나눔잔치 중에서 -

 

 

 

 

 

 

 

 

지금까지 주민들이 인생의 주역이 되는 공간,

 창원시 성호생활문화센터였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