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료실/연구소10년(`94-`04)

정보민주화 운동: 경남정보사회연구소의 사례

by 알 수 없는 사용자 2004. 4. 24.

정보민주화 운동: 경남정보사회연구소의 사례 

이 은진 (경남대 사회과학부, 지역사회학)  e-mail: ejlee@hanma.kyungnam.ac.kr 


가. 정보기술의 불확정적 사회적 효과 


"정보기술이 정보화사회 담론에 담긴 낙관적 전망 - 곧 증대하는 민주화, 사회적 평등, 풍요한 삶, 문화적 르네상스 등 -을 현실화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는 점을 부인하기란 쉽지 않다. 그러나 이러한 전망은 사회구조의 근본적 개편 등 그러한 목적의 달성을 가로막는 수많은 장애물을 극복하고자 하는 공동체 성원들의 고통스럽고 총체적인 투쟁과 노력의 결과로서 실현가능할 것이다"(강정인, 1997). 


"정보의 시민운동화 -- 정보화사회가 제기하는 새로운 문제(정보의 자유, 정보의 공개, 정보에의 평등한 접근을 포함한 정보 복지)에 적극적으로 대처하고자 하는 운동"(강정인, 1997). 

 

나. 정보: 시장과 민주주의 


기업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한 즈보프(zuboff, 1988)에 의하면, 목소리가 작다든지 短身 등 신체적으로 자신이 없는 사람들이 네트워크에서는 활발하게 발언한다고 한다. 


하이예크(hayek, 1945)는 시장은 그 자체로서 가장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정보시스템이라고 주장하였다. 


하버마스(habermas, 1962/1989): 민주적 절차 그 자체는 공중에게 가용한 정보의 부적합성에 의해 훼손된다. 만일 시민이 신뢰할만한 정보를 접근하는데 거절당하면, 어떻게 순수한 민주주의(사려깊고, 사안을 고려하고, 지식이 있는 유권자의 생각)가 성취되겠는가? 정보는 공중영역의 핵심이다. 그 가정은 공중영역 내에서 행위자는 분명한 논쟁 속에서 자신의 입장을 분명히 하고, 그들의 견해는, 또한 절차에 완전한 접근이 가능한 공중에게 가용하다는 전제가 있기 때문이다. 

 

다. 정보의 국가 독점, 자본 독점 


모든 국가는 정보사회이다. 국가권력의 발생은 정보의 수집, 보관, 통제를 전제로 한다( giddens, 1985: 178). 


"이처럼 국내의 정보화 정책은 한국사회의 내재적 필요나 수요에 대응하기 보다는 국내 대자본의 구제를 위해 '해외시장의 수요'에 대응한다는 산업구제적 성격이 강했다"(강정인, 1997). 

 

라. 연구소의 창립 


"경남도서관 및 정보문화발전연구소는 우리가 만든 정보를 우리의 필요에 의해 원하는 사람들이 모여 만든 연구소이다. 지역주민들이 스스로 정보를 갖고자 원할 때 우리는 그 자리에 서서 함께 문제를 해결하려고 한다. 본 연구소는 '참여를 통한 정보소통'이라는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연구소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부분과 우리를 필요로 하는 부분이 있다면 '정보 자치'와 '정보 자립'의 입장에서 3가지 방향을 제시한다. 

첫째 지역의 정보 소통을 양자 소통체제로 바꾸는 것이다. 정보의 이용자가 원하는 시간과 장소에 원하는 정보가 놓여져야 한다는 것이다. 

둘째 이러한 정보의 양자소통체제를 위하여 이용자의 가까운 주변에 도서관과 정보센터를 구축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다. 

셋째 정보의 내용과 시설의 공동이용을 통한 유대감을 조성하여 생활중심지와 문화중심지를 일치시키는 작업을 하는 것이다"(박상표, 1995. 8. 16, "95년 독서의 달 행사에 대한 제안서"). 


사업기조: 사업의 기본축(1995. 7. 5, 전세중, "연구소 사업방향 설정에 대하여") 

衁. 민주사회를 위한 정보의 생산과 유통체제로서의 지역포럼 

정보의 지방화(지역 정보), 정보의 자주화(해외정보처리), 정보의 민주화(모든 지식, 정보의 자유로운 접근과 검색) 

遁. 대중도서관 

정보 공유의 장: 주민 토론회를 통한 의사소통의 문제화, 정보에 소외된 주민을 위한 정보 제공 문제. 


"우리는 이렇게 척박한 지적 풍토 속에서 민주주의를 위한 사상의 자유시장인 마을 도서관과 컴퓨터 통신망을 만들고자 모였습니다"(편집자, 1995. 4월, 연구소 소식지). 


경남정보사회연구소의 사업은 "도서관과 사회교육센터를 통하여 주민들의 자유로운 의사소통을 통해 정보를 민주화하는 장으로" 만드는 것이다. 정보문화사업의 세부항목에서도 "지역정보의 수집 및 유통을 통한 정보민주화 운동"을 넣고 있다. 

1999년 사업추진 방향의 8번 항목은 "시민 정보 서비스 확대, 정보 공개, 기록보존운동, 시민중심의 정보 유통망 구성방안 마련"(경남정보사회연구소, 1999, 경남정보사회연구소 사회교육센터 안내자료). 

 

마. 마을회관 

 

필요성: "정보생산, 이용, 유통 등의 정보 자립 함양"(창원시 사회진흥과, 1998. 11. 18일, "창원시 마을회관 활성화계획"). 


1. 정보 생산: 마을 신문 발간 


대원동: 까치 소리 1 98년 2월, 까치 소리 2 98년 5월, 까치 소리 3 98년 8월 

팔룡동: 98년 11월 좋은 책 선정단 소모임 구성, 독서신문 만들기 98년 

의창동: 98년 11월 마을신문기자단 창단 

명곡동: 마을 신문 98년 11월, 99년 1-2월 마을기자단 모임 

반지동: 마을신문 낮은 울타리 1호 발간 98년 9월, 낮은 울타리 2호 발간 98년 12월, 청소년 신문기자단 

봉림동: 마을소식지 97년 2월, 행복이 사는 마을 발간 98년 12월 

사림동: 97년 3월 마을신문기자단 모임, 98년 3월 마을신문기자단 모임, 함박웃음 1호 발간 98년 6월, 지역사랑 소모임 두루별이 6명 


2. 1998년 사업계획서에 "지역조사사업에 의한 마을 공동체운동" 

마을의 객관적 상황을 파악한다....지역개발 계획... 

마을 환경지도 만들기, 마을 생활수준 조사 

정보화사업: 정보 수집, 지역정보 수집, 기관정보수집, 지역발전 계획, 정책 대안 연구, 프로그램 개발, 정책 수립, 주민 자치 클럽, 마을 신문 소식지, 사랑방 대화, 시사토론회 

주민 자치 사업: 정보 교류 및 건전한 주민 여론 조성활동, 이웃과 만남의 광장 


팔룡동: 지역실태 조사 98년 2월 

주민참여단: 현재 창원시 의회를 방청하며 활동을 모니터한다. 


3. 표현: 대원 초등 글쓰기, 논술, 웅변; 팔룡 서양화전시회 99년 1월, 팔룡 문예창작반 여백 동인지 발간 98년 5월, 창원사랑 그리기 대회 98년 10월 

 

바. 도서관 


1. 연구소에서 도서관의 역할 


"민주주의는 자신의 의견을 자유롭게 표현하고, 또한 남의 의견을 자유롭게 들을 수 있을 때 가능하며, 이를 일차적으로 보장하는 곳이 도서관이다.....도서관은 바로 서로 다른 견해가 자유로이 유통되어 개인을 살찌우고, 독재가 발을 붙이지 못하게 하고, 자유로이 의견을 표출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데 그 일차적인 의의가 있다"(이은진, 1995. 4월, 연구소 소식지) 

"함께 모이는 장으로서의 마을도서관 사업: 마을 도서관은 예전의 사랑방 구실을 하리라 본다. 지적 욕구의 증대를 해소하며, 각종 정보가 모이고, 흘러나가는 곳으로 정보 생산과 소비가 이루어 지는 곳이다"(1995. 1월, "비젼 21, 마을을 열자! 미래를 열자!", 연구소 사업계획안) 

마을도서관은 주민들의 정보대행센터다(김문정, 1995. 12. 14, "복지회관내 도서관운영방안"). 


"정보의 집중은 소수가 다수를 통제하고 장악할 수 있는 조건임과 동시에 다수가 정보를 생산, 집중하여 다수가 이용하여 모두가 사회의 참다운 주인으로 살아 갈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우리는 이 가능성 앞에서 다수 대중이 정보를 스스로의 가치관에 입각하여 생산하고, 스스로의 이익에 맞게 이용할 수 있는 운동을 펼치고자 합니다. 이것을 우리들은 '지식과 정보의 민주화운동'이라고 부르며, 이를 구체화하는 방식으로서 '우리 도서관 갖기 운동'을 구상하게 되었습니다"(전세중, 1993. 11. 24, "'민주 도서관운동' 모임에 대한 제안서: 마을, 학교, 직장 도서관을 만들자"). 

"따라서 우리들의 민주도서관 운동'은 단순히 책만을 공동 이용하자는 것이 아니라, 지식과 정보를 민주화하자는 것으로 주민에 의한 민주적인 정보 네트워크망을 추구합니다." 


도서관 설계의 기본 원칙: "자료를 많이 소장하기보다 자유롭게 열람하고, 만나는 장소로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 서가는 벽면을 이용하여 5천권 정도 비치할 수 있으면 되고, 열람과 만남을 자연스럽게 할 수 있도록 중앙공간을 최대한 확보한다"(전세중, 1995. 12. 23, "마을 도서관 설립에 따른 준비 작업"). 


2. 지역 민간도서관의 역사 


주민들의 지적욕구는 상승하는데 공공도서관이 주민들의 지적 요구를 충족시켜주지 못하자 주민들에 의해 '회원제 도서관'이라는 형태로 부산지역에 처음 나타났다. 이 회원제 도서관은 87년 6월 민주화 항쟁이후 전국 각지에 퍼져 나갔다....우리 마창 지역도 88년 6월 개관한 현 '민간 도서관 책사랑', 지금 성안 백화점 옆의 '책세계', 창원 중앙동에 '새결' 등 3개가 생겨났으며, 이후 2곳은 쇠퇴하고 현재는 마산의 '민간도서관 책사랑'과 창원 신월동 지역에 사회봉사단체 '나눔터'에서 운영하는 '둥지 도서관'이 기존 회원제 도서관 형태로 남아 있다(편집부, 1994, "마산지역 대여점 실태 조사보고", 책사랑, 10호). 

 


참고문헌 

강정인, 1997, "'정보화 사회' 담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 한국 크리스찬 아카데미 주최, 시민사회 시각에서 본 정보화 논의에서 발표된 글 (9월 20일), 서울 크리스찬 아카데미 회의실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 모임 정보통신위원회, 민주주의 민족통일 전국연합,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진보통신단체연대모임, 1997, '97정보통신 검열백서 (서울) 

정인근과 윤종욱, 1995, "부가통신 서비스의 이용현황 및 서비스 개발방향", 정보사회연구, 7, 2 

giddens, anthony, 1985, the nation state and violence: volume two of a contemporary critique of historical materialism (cambridge: polity) 

habermas, jürgen, 1962/1989, the structural transformation of the public sphere: an inquiry into a category of bourgeois society 

hafner, arthur w., and jennifer sterling-folker, 1993, "democratic ideals and the american public library", arhtur w. hafner, ed., democracy and the public library: essays on fundamental issues (westport: greenwood press): 9 - 44 

hayek, f. a., 1945, "the use of knowledge in society", american economic review, 35, 4 

short, j., e. williams and b. christi, 1976, the social psuchology of telecommunications (wiley)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