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료실/2012활동102

옛길걷기 7월 동행(황산도)안내.... 이야기가 있는 옛길걷기 7월 동행(황산도) ~매월 진행하므로 관심있는 분, 참여해보세요. 안 내합니다... * 동행 일 : 2012년 7월14일(토) * 여정 : 물금역에서 황산잔도(황산베리) 물금역->황산역 터->황산잔로비(용화사)->황산베리->부사정현덕불망비->경파대(회귀)- >증산리 낙동강 둔치 ->호포원->가산리->금산리->석산리->다방동 * 준비물 : 점심도시락, 간식, 생수, 걷기편안한 복장 등 * 참가비 : 20,000원(교통비등) * 대상 : 관심있는 분이면 누구나 가능 * 만남장소 : 창원역 08:25분 (08:35 분 발) // 창원 중앙역 08:30분 (08:40분 발) * 문의 : 경남정보사회연구소 tel. 265-0021 봉곡평생교육센터 tel. 265-6086 2012. 7. 4.
중앙평생교육센터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우당탕탕 재잘단, 마을 유산 투어2 인쇄골목 탐방 그 여섯번째.. 2012년 꿈다락 문화학교가 문을 열고 여섯번째 수업을 진행하다. '우당탕탕 재잘단, 마을 유산 투어2'이라는 제목으로 6월 23일(토) 그 여섯번째 수업, 여섯번째 수업은 경남 창원시 중앙동 12-1에 있는 창원프로세스를 방문하여 우리마을의 인쇄골목은 어떠한 곳인지를 알아보고 북아트 활동도 함께하여 보자.. 옛날 사람들은 글자를 한 자 한 자 새겨서 책을 만들어 보았지만 지금은 컴퓨터가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어.. 프린터기는 인쇄 버튼 한번만 누르면 인쇄가 되지만 인쇄소에서는 여러 단계를 걸쳐서 한 권의 책이 만들어져.. 각 각의 자료들을 이렇게 모아서 복잡하게 생긴 이 기계로 여러 단계 단계를 걸쳐 빠른 속도로 한 장, 한 장 인쇄가 되는거야.. 우리 마을의 인쇄골목에는 이렇게 책도 만들고 광고지도 .. 2012. 7. 1.
중앙평생교육센터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우당탕탕 재잘단, 마을 유산 투어1 그 다섯번째.. 2012년 꿈다락 문화학교가 문을 열고 세번째 수업을 진행하다. '우당탕탕 재잘단, 마을 유산 투어1'이라는 제목으로 6월 9일(토) 그 다섯번째 수업을 하다. 다섯번째 수업은 창원시 경남 창원시 외동 86-1에 있는 성산패총 탐방으로 옛날 사람들은 어떻게 살았을까? 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갖았다.. 패총은 선사시대에 인류가 조개를 먹고 버린 껍데기와 생활쓰레기가 쌓여 이루어진 것으로 조개더미 유적이라고도 하는데 당시의 생활모습을 알 수 있는 유적이다. 해발 49m의 구릉지 형태를 띠고 있는 이 패총은 단순한 조개무덤 이상의 의미를 갖는다.. 문화재 발굴단이 1974년 발굴 과정에서 쇳물을 녹여 흘려보냈던 야철지가 발견되었는데.. 이는, 쇠를 다루는 작업장이 있는 야철지의 발굴은 패총 일대가 2000년.. 2012. 7. 1.
중앙평생교육센터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우당탕탕 재잘단, 마을 골목의 나무와 풀.. 그 네번째.. 2012년 꿈다락 문화학교가 문을 열고 네번째 수업을 진행하다. '우당탕탕 재잘단, 우리마을 골목과 길에서 만나는 나무와 풀 알고 표현(그림)하기'라는 제목으로 5월 26일(토) 그 네번째 수업을 하다. 학습 주제와 목표를 우리 친구들과 함께 알아보고 마을에서 '내가 만난 나무'를 그림으로 표현해 보자.. 우리 마을 숲에는 어떠한 나무가 있을까? 우리 마을의 나무의 종류와 모양 생김새를 자세히 살펴보자 우리 마을에서 만난 풀들의 모습은 어떻게 생겼을까? 자세히 들여다 보자.. 재잘 재잘~선생님과 함께 다같이 풀 잎과 대공을 만들어 보자.. 완성된 작품을 소리 내어 불어도 보고, 풀잎의 움직임도 살펴보자.. 쉽게 지나쳐 가는 중앙 마을 숲에는 다양한 나무가 있었어 우리에게 쉼터를 마련해 주고 나무의 소중함.. 2012. 7. 1.
중앙평생교육센터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우당탕탕 재잘단, 마을숲 생태 교육 그 세번째.. 2012년 꿈다락 문화학교가 문을 열고 세번째 수업을 진행하다. '우당탕탕 재잘단, 마을 숲 생태교육'이라는 제목으로 5월 12일(토) 그 세번째 수업을 하다. 세번째 수업은 창원시 중앙동의 마을숲 생태교육의 시간을 갖았다.. 겨울을 나기 위해 극도로 짧은 줄기에 잎을 방사상으로 펼쳐 땅바닥에 붙인 체 둥근 방석처럼 자리 잡은 식물들은 그 모양이 마치 장미꽃 같다고 해서 '로제트(rosette)' 식물이라고 한다. 로제트 식물이 겨울철에 지표면에 밀착해 지내는 것은 지표면의 온도가 지상의 온도보다 높기 때문에 지표면의 열을 이용하고 차가운 겨울 바람을 덜 받음으로써 수분의 손실을 줄이고 체온을 유지하기 위한 것이라고 한다. 자신의 몸을 낮추고 넉넉치 못한 햇살을 받으며 추운 겨울을 나는 로제트 식물.. .. 2012. 7. 1.
토요문화학교 그 다섯번째 사림동 문화체육관광부 주최,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경남문화재단 주관, 사단법인 지역문화공동체 경남정보사회연구소 운영 사림 토요문화학교 5번째 시간이 2012년 6월16일(토) 9:30-12;30분까지 이해진 외 12명이 함께하였습니다 이번시간에는 마을 문화유산 투어 첫번째 시간으로 옛날 사람들은 어떻게 살았을까 ? 민속박물관 탐방 , 당산목 ,괴헌정, 옛날 조상들이 사용했던 농기구 를 살피는 소중한 시간을 가졌습니다 2012. 6. 30.